본문 바로가기
사회

대한민국, 초고령사회의 문턱을 넘다 – 우리가 맞이한 미래

by 윤경자기자 2025. 6. 2.

늙어가는 대한민국 '고령사회'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에 공식 진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층으로,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 중 하나다. 일본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데 24년이 걸린 반면, 한국은 불과 7년 만이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현상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지금, 우리 눈앞에 펼쳐진 현실이다.


인구 구조의 급변… 그 파장은?

고령화의 가속은 단순히 ‘노인이 늘어났다’는 차원을 넘어선다. 인구 구조의 불균형은 경제 활력 저하, 노동력 부족, 의료와 복지 부담 증가로 직결된다. 노인 1인을 부양해야 하는 청장년층의 부담은 더욱 무거워지고, 젊은 세대는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고 있다. 결과는 또 다시 인구 감소다. 이 악순환의 고리는 단단하다.

실제로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노후를 국가가 온전히 책임지기엔 재정도, 시스템도 아직 미흡하다. 지금 우리가 마주한 초고령사회는 단지 인구의 문제가 아닌, 삶의 방식 전체를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고 있다.


고령친화 사회로의 대전환은 가능한가

정부는 노인 일자리 100만 개 이상을 창출하고, 노인복지 인프라를 확대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진짜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 사회는 나이 들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

초고령사회는 단지 노인을 위한 정책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 은퇴 이후에도 의미 있는 사회 참여가 가능해야 하고, 젊은 세대는 ‘노인이 되는 삶’을 긍정할 수 있어야 한다. 돌봄, 주거, 교통, 문화 전반에서 세대 통합형 설계가 필요하다. 고령화는 문제라기보다는 변화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미래를 위한 선택, 지금부터 시작이다

초고령사회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그렇다면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사회 계약이 필요한 시점이다. 연금 개혁을 비롯해 고령자 고용 확대, 다세대 공존 정책 등 구조적인 대응 없이는 버티기 어렵다.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우리는 이미 늙어가는 사회를 살고 있다. 그 안에서 늙는 개인이 존엄하고 안정되게 살아갈 수 있는 나라. 그 길을 선택하는 일은 결국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의 몫이다.